JavaScript 문법 종합반
-
1-4 데이터 타입JavaScript 문법 종합반 2023. 4. 1. 17:27
04.js 파일 생성 1. 불리언(Boolean) (중요한 기초지식, if문과 같이 붙어서 잘 쓰인다.) true(참), false(거짓) let bool1 = true; let bool2 = false; console.log(bool1); console.log(bool2); 터미널 결과: true false let bool1 = true; let bool2 = false; console.log(typeof bool1); console.log(typeof bool2); 터미널 결과: boolean boolean 2. undefined 정의되지 않은 값으로 할당되지 않은 값.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할당하지 않는것. let x; console.log(x); 터미널 결과: undefined 3. null 값이..
-
1-3 데이터 타입JavaScript 문법 종합반 2023. 4. 1. 16:54
02.js 파일생성 데이터 타입은 runtime에 결정된다. runtime: 코드를 작성할 때가 아니라, 실제 코드가 실행될 때(터미널에 코드가 실행될 때) ex. java: String a = "abc"; 자바에서는 스트링(문자열)이라는 데이터 타입을 미리 정해놔야하는 반면, javascript에서는 const a = "abc";라고 해놓고 터미널 출력하면(runtime) 그때 데이터 타입이 결정된다. 데이터 타입(데이터 종류) 1. 숫자 1-1. 정수 let num1 = 10; console.log(num1); 터미널 결과: 10 let num1 = 10; console.log(num1); console.log(typeof num1); typeof연산자를 통해 num1값의 타입트래킹 터미널 결과: 1..
-
1-2 변수와 상수JavaScript 문법 종합반 2023. 4. 1. 14:57
Node.js 설치 완 Vscode에서 미리생성한 WEEK_1폴더 열기 새터미널 01.js라는 파일 생성 코드 영역에 console.log("Hello world!") 저장후 터미널 영역에 node 01.js 엔터치면 Hello world!가 출력됨 // 주석설정한 부분은 JS엔진이 해석하지 않음 Javascript엔진 JS엔진 = Javascript를 구동하는 영역 터미널영역에서 node(띄고)01.js(파일명)을 작성하면 해당 파일의 코드영역이 실행됨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의 변수(variable,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의해 이름을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), 상수(constant, 변하지 않는 값) 변수 메커니즘 = 기억하고싶은 값을 메모리에 저장한다. 저장한 값을 읽어들여서 재사용한다. ..
-
1-1자바스크립트 소개JavaScript 문법 종합반 2023. 4. 1. 11:27
1. Javascipt역사 원래 명칭은 livescript. 자바가 상용화되던때 JAVA와 전혀 상관없지만 이름을 따서 Javascript가 되었다. 자바스크립트의 에이작스가 생기면서 자바스크립트사용자가 늘었다. AJAX = 자바스크립트에서 지원하는 기능. 기존에서의 html은 클릭하면 전체페이지가 새로고침됐었는데 AJAX를 사용하면 클릭하는 해당 영역만 새로고침되어서 UX의 편리성,활용성이 대두되었다. 또한 비동기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해졌다. Node.js=노드제이에스가 등장하자 서버개발의 지각변동이 일어났다(PHP,Ruby,Python,Java→Javascript(Node.js). 프론트+백+DB=풀스택 2. 특징 객체지향 프로그래밍=역할별 객체로 묶어서 처리시킴(↔절차지향~). 객체는 상태/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