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-6 연산자JavaScript 문법 종합반 2023. 4. 1. 21:35
06.js 파일 생성
1. 더하기 연산자
console.log(1+1);
console.log(1+"1");
2. 빼기 연산자
console.log(1-"2");
console.log(1-2);
3. 곱하기 연산자
console.log(2*3);
console.log(2*"3");
4. 나누기 연산자
console.log(4/2);
console.log("4"/2);
5. 나누기 연산자와 나머지 연산자(%)
console.log(5/2);
console.log(5%2);
터미널 결과: 2.5 1
6. 할당연산자(assingment)
6-1. 등호 연산자(=)
let x = 10;
6-2. 더하기 등호 연산자(+=)
x += 5;
console.log(x)
터미널 결과: 15 (위의 10을 x로 놓고 거기에 5를 더한 값)
x+= 5;
console.log(x)
터미널 결과:20 (위의 15가 된 값에 5를 더 더한 값)
6-3. 빼기 등호 연산자(-=)
x -= 5;
console.log(x);
터미널 결과: 15 (위의 20이 된 값에 5를 뺀 값)
x-=25;
console.log(x);
터미널 결과: -10
6-4. 곱하기 등호 연산자(*=)
let a = 10;
a*=2;
console.log(a);
터미널 결과: 20
7. 비교 연산자(좌 우를 비교해서 true or false를 도출) 중요.
7-1. 일치연산자(===)
타입까지 일치해야 true를 반환하는 연산자
console.log(2 === 2); 2랑 2가 같니? 응!
console.log("2" === 2); 문자2랑 숫자 2가 같니? 아니!
터미널 결과: true false
7-2. 불일치 연산자(!==)
타입까지 일치해야 false를 반환하는 연산자
console.log(2 !== 2) 2랑 2가 다르니? 아니!
console.log("2" !== 2) 문자2랑 숫자 2가 다르니? 응!
터미널 결과: false true
7-3. 작다 연산자(<), 작거나 같다 연산자(<=)
console.log(2<3); 2가 3보다 작니? 응!
터미널 결과: true
console.log(2<=3);
console.log(4<=3);
터미널 결과: true false
8. 논리 연산자
8-1. 논리 곱 연산자(&&): 모두 true일때 true 반환
console.log(true && true) //true
console.log(false && true) //false
console.log(true && false) //false
console.log(false && false) // false
8-2. 논리 합 연산자: 두 값 중 하나라도 true인 경우 true 반환
console.log(true || true) //true
console.log(false || true) //true
console.log(true || false) //true
console.log(false || false) // false
8-3. 논리 부정 연산자: 값을 반대로 바꿈. 사용 빈도 높음
console.log(!true) //false
let a = true;
console.log(!a); //false
8-4. 삼항 연산자: 세 항중 조건에 따라 값을 선택한다. 중요.
let x = 10;
let result = x > 5 ? "크다" : "작다"; (x가 5보다 큰가요? 10이므로 왼편의 true를 나타내는 크다 도출)
console.log(result); //크다
8-5. 타입 연산자(typeof)
console.log(typeof "5") //string배운점
저번처럼 더하기 연산자는 문자와 숫자를 더했을때 문자가 우선시되어 문자 타입의 결과가 도출된다. 또한 나누기 빼기 곱하기는 문자와 숫자를 연산했을 때 숫자가 우선으로 숫자 타입의 결과가 도출된다.
비교연산자(true or false) 중 일치연산자(===)는 타입과 양쪽 값이 같아야 결과가 true이고, 불일치 연산자(!==)는 그 반대값의 결과가 나온다. 비교 연산자의 작다 연산자를 이용해서 호기심에console.log("2"<3); 을 찍어봤는데 결과는 true가 나오는걸 보아 비교연산자도 비록 "2"라고 했지만 숫자로 인식하여 true라는 결과가 나오는것을 알 수 있었다.
논리 곱 연산자(&&)는 모두 true일때 true 반환, 논리 합 연산자(||)는 하나라도 true일 때 true가 반환된다. 논리 부정 연산자(!)는 console.log(!true)처럼 true자체를 반대로 바꿀 수도 있고, let a = true;라고 변수지정 한 후 console.log(!a)라고 변수이름을 log값에 담아서 논리부정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. 사용 빈도가 높다고 한다.
삼항 연산자는 변수를 할당(예를들어 let a = 5)한 후 세 항을 let result= a = 5 ? "t" : "f" 로 했을 때 :를 기점으로 왼편은 true성격을 지니고 오른편은 false라고 하므로 결과는 true가 된다. 강의 중 문제가 나왔는데 답을 y가 10보다 크면 크다가 도출되게 하는 문제였다.
let y = 20;
let answer = y > 10 ? "작다" : "크다"; (y가 10보다 작나요? 아니오. 오른편의 false를 나타내는 크다 도출)
console.log(answer) //크다처음에는 y < 10 ? "크다" : "작다"라고 생각했었다. 하지만 여기서 크다 연산자는 애초에 10보다 큰 20을 가리키고 있어야 했기에 답의 로직을 바로 이해 할 수 있었다.
'JavaScript 문법 종합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-8 스코프 및 화살표함수 (0) 2023.04.01 1-7 함수 (0) 2023.04.01 1-5 형 변환 (0) 2023.04.01 1-4 데이터 타입 (0) 2023.04.01 1-3 데이터 타입 (0) 2023.04.0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