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-2 변수와 상수JavaScript 문법 종합반 2023. 4. 1. 14:57
Node.js 설치 완
Vscode에서 미리생성한 WEEK_1폴더 열기
새터미널
01.js라는 파일 생성
코드 영역에 console.log("Hello world!") 저장후 터미널 영역에 node 01.js 엔터치면 Hello world!가 출력됨
// 주석설정한 부분은 JS엔진이 해석하지 않음
Javascript엔진 JS엔진 = Javascript를 구동하는 영역
터미널영역에서 node(띄고)01.js(파일명)을 작성하면 해당 파일의 코드영역이 실행됨
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의 변수(variable,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의해 이름을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), 상수(constant, 변하지 않는 값)
변수 메커니즘 = 기억하고싶은 값을 메모리에 저장한다. 저장한 값을 읽어들여서 재사용한다.
다섯 가지 주요 개념 ex) var myVar = "Hello world";
변수 이름 = 저장된 값의 고유 이름(한글도 상관없음). myVar
변수 값 = 변수에 저장된 값, 오른편 "Hello world"
변수 할당 =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행위 myVar에 Hello world라는 값을 저장하는 행위
변수 선언 =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 컴퓨터에 알리는 행위. var라는 키워드를 이용해서 myVar라는 변수를 만듦. 즉 왼편에 있는 모든 것이 변수 선언.
변수 참조 = 변수에 할당된 값을 읽어오는 것. 방식1)console.log(myVar); = 콘솔에 로그값(myVar)을 출력. 방식2)var a = 10; var b = 20; var c = a+b;
변수 선언 세 가지 방법
1. var(재할당 가능-이미 변수이름에 할당된 값을 새로운 값으로 재설정하기 가능. 재선언 가능-똑같은 변수방식과 똑같은 이름으로 새로운 변수값을 또 선언할수 있다.)
var myVar = "Hello world";
var myVar = "Test 1"
myVar = "GoodBye"
console.log(myVar);
터미널 결과: GoodBye (마지막 할당된 값이 출력 됨)
2. let(재할당 가능. 재선언 불가.)
let myLet = "Hello world1";
//let myLet = "Test 2"
myLet = "GoodBye 1"
console.log(myLet);터미널 결과: let myLet = "test 2" 오류, 주석처리
GoodBye 1(재선언항을 제외하고 재할당된 값이 출력 됨)
3. const(재할당 불가. 재선언 불가.)
const myConst = "Hello world2";
//const myConst = "Test 3"
//myConst = "GoodBye 2"
console.log(myConst);
터미널 결과: const myConst = "Test 3"; myConst = "GoodBye 2"; 오류, 주석처리
Hello world2(재선언·재할당 항을 제외하고 처음 선언한 값이 출력 됨)배운점
변수 할당이란 myVar = "GoodBye"
변수 선언이란 var myVar(왼편)
재할당과 선언이 둘 다 가능한 변수방식은 var 방식
재할당은 가능하고 재선언은 불가한 변수방식은 let 방식
재할당과 재선언 둘 다 불가능한 변수방식은 const 방식
var(variable): 변하기 쉬운
let: 하게하다
const(constant): 변하지 않는
'JavaScript 문법 종합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-6 연산자 (0) 2023.04.01 1-5 형 변환 (0) 2023.04.01 1-4 데이터 타입 (0) 2023.04.01 1-3 데이터 타입 (0) 2023.04.01 1-1자바스크립트 소개 (0) 2023.04.01